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윤석열 파면과 경제 위기 – 너가 뽑은 대통령, 악으로 깡으로 못 버티겠지?

by 띠오용 2025. 4. 4.

대통령 탄핵, 내 통장 잔고에도 영향이 있을까?

정치 격변과 경제, 그리고 당신의 소중한 한 표

2025년 4월 4일, 대한민국 정치사에 또 한 번의 굵직한 이정표가 찍혔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전원 일치로 파면 결정을 내리면서, 우리는 다시 조기 대선이라는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 들어서게 됐어. 이 소식, 뉴스를 스쳐 지나가듯 봤다면 이렇게 물어보실 수도 있을거야.

“탄핵이 내 삶이랑 무슨 상관인데요? 정치인은 다 거기서 거기잖아?”

 

당장!그 생각!집어 치워!제발!

 

그 생각, 너의 지갑에도 영향이 있다는 걸 알면 생각이 질 걸? 정치는 단순한 권력 싸움이 아니라, 우리 경제와 아주 긴밀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야.

수능 보다...신중해야 하는 게 투표 아닐까?

1. 경제와 투표, 당신의 선택이 나라 경제를 좌우한다

경제투표이론(Economic Voting Theory)은 이런 상황에서 특히 유용하게 작동한다고 해. 이 이론에 따르면, 유권자는 ‘정부가 경제를 얼마나 잘 운영했는가’를 기준으로 투표에 영향을 받는대. 예를 들어...

  • 실업률 낮고 내 월급 올랐다? → “현 정부 계속 갑시다!”
  • 물가 치솟고 부동산 폭등했다? → “바꿔야지 이건…”

하지만 한국은 조금 복잡하지.... 지역주의, 세대 갈등, 이념 대립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경제가 전부는 아니야. 다만 최근 들어,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부동산, 청년 일자리, 교육 정책 등 실질적인 경제 이슈를 보고 투표하는 성향이 강해지고 있어.(근데 커뮤니티 영향도 매우 많이 받아..... )

결론적으로, 정치 혐오에 빠지기보단 한 번 더 따져보는 습관이 필요해.

 

2. 정치 무관심이 경제에 주는 충격, 상상 이상이다

“정치에 관심 없어요.”
“누굴 찍어도 똑같아요.”

이런 말, 너무 많이 들려와. 하지만 이게 진짜 무서운 이야기라는 걸 알았으면 좋겠어.

낮은 투표율은 결국 ‘조용한 다수’가 아닌, ‘시끄러운 소수’가 정치의 키를 잡게 만들거든.

극단적 이념이나 특정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세력이 정치 전면에 서게 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정책은 예측 불가능하고 비일관적인 경우일 확률이 매우매우 높지.

이럴 때 기업은 투자를 미루고, 소비자는 지출을 줄이고, 결국 경제는 느려지고 내 주식 계좌는 파래지고...

 

3. 책임 있는 투표를 위한 5단계 체크리스트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을까?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아래 다섯 가지만 기억해도 절반은 성공이야.

1) 정책의 실현 가능성 따지기

구호만 번지르르한 ‘포퓰리즘’에 속지 말자. 재원 조달 방안, 실행 계획, 실제 추진 가능성까지 따져봐야 한다.

2) 과거 성과 꼼꼼히 확인

“말보다 행동”이다. 공약 이행률, 경제 지표 변화, 이전 직책에서의 성과는 최고의 참고서다.

3) 독립적 정보 수집

뉴스, 학계, 리포트 등을 참고하자. SNS 알고리즘이 만든 확증 편향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균형 있는 판단 가능!

4) 장기적인 안목 유지

“당장 10만원 준대!”보다, “10년 뒤 나라 빚은 어떻게?”를 묻자. 단기 복지보다 장기 재정건전성이 중요하다.

5) 투표는 시민의 책임

‘귀찮다’는 이유로 소중한 한 표를 포기하지 말자. 당신이 투표하지 않으면, 누군가 당신 대신 선택한다.

 

4. 정치 불확실성 시대, 내 자산은 어떻게 지킬까?

자, 이제 실제 투자 전략도 이야기해보자.
이런 정치적 변동성이 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응은 아래와 같아.

  • 달러 & 금 비중 확대
    환율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에는 달러 자산이나 금 같은 안전자산의 방어력이 돋보인다.
  • 고배당주 & 방어주 투자
    정국이 흔들릴수록 배당이 꾸준한 우량주는 변동성을 덜 타고 꾸준한 현금흐름을 제공해준다.
  • 포트폴리오 다변화
    한두 종목, 한두 자산에 몰빵하기보단 산업/지역/자산군을 나눠 리스크를 분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ETF·REITs 활용
    개별 기업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특정 섹터(예: 인프라, 헬스케어)에 투자할 수 있는 좋은 도구다.

 

5. 결론: 당신의 한 표가 나라를 바꾸고, 당신의 경제도 바꾼다

정치는 경제와 함께 놀면서 모래성을 만들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은 헌정질서의 승리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우리 경제가 얼마나 정치적 안정성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드러낸 사건이기도 하지. 물론 더한 나라들도 엄청 많아 

이제는 정치 무관심이 곧 경제 리스크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당신의 한 표는 ‘좋아하는 정치인’을 뽑는 일이 아니라, ‘내 미래를 위해 정책을 맡길 사람’을 고르는 일이라고 생각하고...제발....올바른 결정 해야 한다는 교훈을 잊지 말자.

이런 일 다시는 없도록.

 

그리고 이번 계엄으로 인해 생긴 불확실성이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 관련글 있어 이 글도 너한테 도움이 되길 바래 📌 누군가를 없애면 내가 돈을 벌 수 있다고? 경제의 불확실성
시장 공포와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본질적인 질문 하나
👉 글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