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정부 추경이란 무엇인가? 나랏돈이 움직이면 생기는 일들

by 띠오용 2025. 4. 15.

정부 추경 12조! "이 돈 다 어디에 쓰려고?"

요즘 뉴스보다 보면, “정부 추경 확대!” 이 말이 자주 보이지?
처음엔 나도 ‘정부 추경? 추... 뭐?’ 하면서 스킵하려다가
‘12조’라는 숫자에 눈이 확 갔어. 요즘 같은 때 12조면 장난 아니잖아?

근데 말이야, 정부 추경이란 건 그냥 정부가 “야 돈 좀 더 쓰자~” 하고
기존 예산에 덧붙여서 추가로 돈 푸는 것이야.
물론 아무 때나 막 뿌리는 건 아니고, 법적으로 조건이 있어.
경기 침체, 자연재해, 긴급 상황 등등... 즉, 나라가 좀 급할 때 쓰는 카드지.

 

정부 추경

1. 왜 지금 시점에 정부 추경을 확대한 걸까?

최근 뉴스 보면 물가야 떨어졌는데, 경기는... 글쎄다?
소비 둔화, 수출 부진, 청년 실업률 높고, 자영업자도 힘들고...

그래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정부 추경 더 늘려야겠다” 선언한 거야.
원래 10조였던 걸 12조 원대로 증액한 건, 진짜 상황 심각하다는 뜻이야.
특히 대선 분위기까지 겹치면서 민심도 살살 달래려는 거겠지.

 

2. 정부 추경, 어디에 얼마나 뿌려지나?

  • 청년 일자리 및 고용 안정 : "젊은 피 살리자!"
  • AI·반도체·친환경 신산업 육성 : "미래 먹거리 준비"
  • 소상공인 금융 지원 : "코로나 때 고생한 자영업자 챙기자"
  • SOC 투자 (철도, 도로 등) : "지역균형발전+일자리 창출"

여기서 눈여겨볼 건, 건설주, 친환경, AI 관련 종목들이야.
주식 투자자라면 정부 추경 수혜주 필히 주목!

 

 

3. 주식 시장은 정부 추경에 어떻게 반응함?

일단 관망세가 좀 커.
“돈 푼다고 좋기만 하겠냐?”는 회의론도 있고,
“그래도 추경이면 돈은 도니까 건설주 가자!” 이런 반응도 있어.

실제로 과거 정부 추경 나왔을 때

  • 인프라 (도로, 철도, 통신망) 관련주
  • 고용/청년 관련 교육·HR 업체
  • 친환경·탄소중립 정책 관련주

이런 쪽이 반응이 좋았던 사례 많아.
2020년 코로나 추경 때도 두산퓨얼셀, 한화솔루션, 현대건설기계 같은 종목들 쑥쑥 올랐었지.

 

4. 정부 추경, 다 좋은 건 아님

물론 찬반 논란도 있음.

찬성 측 :
“지금은 돈을 써야 할 때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국민도 산다.”

 

반대 측 :
“이러다 나라 빚만 더 쌓이는 거 아냐? 재정 건전성 어떡할래?”

2024년 기준 국가부채는 1,100조 넘어섰는데
이번 정부 추경으로 1,120조 넘길 수도 있어.
우리도 국민이니까 이런 거 무시하면 안 돼!

 

찬반

 

5. 결론: 정부 추경은 경제+정치+투자의 신호탄

  • 정부 추경이란 단순한 “돈 풀기”가 아니야
  • 정부가 현재 상황을 얼마나 심각하게 보느냐의 ‘온도계’
  • 기업 입장에선 기회, 개인 입장에선 생존
  • 투자자 입장에선 종목 테마를 다시 구성할 타이밍

특히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메시지”도 꽤 담겨 있어.
국민을 안정시키고, 경제도 살리고, 정치도 흔들리지 않게 하겠다는 의도지.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