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6월3일 조기대선 확정! 5천억짜리 선거 이야기

by 띠오용 2025. 4. 8.

6월3일 조기대선, 그냥 투표만 하는 게 아냐… 5천억짜리 쇼?!

6월3일 조기대선.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보다 더 궁금한 거? “도대체 선거 한 번 하는 데 얼마나 드는 거야?”라는 질문. 단순히 종이 한 장 뽑는다고 끝나는 게 아니거든. 무려 5천억 원짜리 국민 프로젝트야.

이번 2025년 조기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해 갑작스레 열리는 만큼, 기존 대선보다 더 많은 비용과 사회적 에너지가 들어가지.

이 글에서는 선거에 들어가는 세금, 후보자 돈, 사회적 대가까지 다루면서, 우리 모두가 ‘투표’에 대해 좀 더 현명해질 수 있도록 도와줄게.

 

탄핵과 관련해서 우리 경제에 관한 이야기도 있어

이 글 한번 보고 정치와 경제에 대해서 더 이해하면 좋을거야

 

1. 선거 비용, 이 정도일 줄은 몰랐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22년 20대 대선 비용은 약 4,000억 원이었어.

그런데 말이야, 2025년 조기 대선은 무려 4,949억 원! 단순히 예산 짜서 하는 게 아니라, 원래 계획에도 없던 거니까 추가경정예산(줄여서 추경)까지 짜야 돼.
요약하면 이거야:

“야야, 원래 예산 다 썼는데 갑자기 조기 대선 하자고? 그럼 돈 더 달라고 해야지~”

 

 

이렇게 되면 뭐가 문제냐고?
딴 데 쓸 돈이 줄어들어. 아동 복지, 노인 연금, 지역 균형 발전 예산 같은 데서 돈 빼올 수도 있다는 얘기야.

그야말로 정치판의 도미노 효과지.

 

6월3일 조기대선..5만원 낸다 생각하고 신중하게 한표!

 

2. 후보자들도 돈을 쓴다고? 엄청 써!

우리나라는 ‘선거공영제’라는 시스템을 써. 쉽게 말해서, 선거에 일정 득표 이상 하면 국가가 선거비용 보전해줘.
2022년 기준으로 선거비용 상한은 513억 원이었고, 주요 정당 후보자들은 평균 400억 원 이상을 썼지.

어떻게 쓰냐고?

  • 홍보물 제작
  • 캠프 운영
  • 유세 버스, 현수막
  • 인건비, 밥값, 교통비…

하나하나가 다 돈이야.
득표율 15% 이상이면 전액 보전, 10~15%는 절반 보전, 10% 미만은? “미안~ 너 돈 다 날렸어~”

이 구조는 자금력 부족한 정치 신인들에겐 엄청난 진입 장벽이야.

결국엔 “정치도 자본 싸움이냐?” 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지.

 

3. 정당과 미디어의 움직임, 그리고 보이지 않는 지출

 

선거에서 돈 쓰는 건 후보자만이 아니야. 정당들도 돈을 왕창 써.

  • 국고보조금 + 당비 + 후원금 = 선거 시즌 풀가동
  • 수백억 원 단위로 선거 전략 짜고, 홍보하고, 콘텐츠 만들고…
  • 유튜브, 인스타, 틱톡까지… “정당도 이제 콘텐츠 크리에이터야?”

그뿐이냐고? 후원회 운영비, 미디어 광고비, 캠프 인력 운영비까지 포함하면, 실제 지출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커.
선거 한 번이면 국민 전체가 간접적으로 돈을 낸다고 봐도 무방해.

 

4. 돈보다 무서운 건 ‘정치 피로도’

여기서 진짜 무서운 건, 돈보다 더 무형의 사회적 비용이야. 특히 조기 대선 같은 경우엔 국민들이 느끼는 피로도가 더 커.

예를 들어볼게:

  • 정치 혐오 증가: 하루가 멀다 하고 TV 틀면 네거티브 광고. “아 걔는 이랬대!” “쟤는 더했대!” 그냥 다 안 뽑고 싶어짐.
  • 사회적 분열: 진보 vs 보수, 젊은층 vs 노년층, 지역 갈등… 선거 끝나도 감정의 골이 안 없어져.
  • 정보 피로와 혼란: 공약인지 뻥인지 모르겠는 말들. 유튜브에선 가짜뉴스 퍼지고, 페북에선 감정싸움 벌어지고.

이런 ‘비물질적 비용’은 수치로 측정하긴 어렵지만, 진짜 무서운 손실이야.

사회 신뢰가 한 번 깨지면, 복구하는 데 수십 년 걸려.

 

5. 조기 대선이 만드는 예산의 불확실성

원래 대선은 5년에 한 번이잖아? 근데 이번처럼 갑작스레 열리는 조기 대선은 국가 예산 구조 자체를 흔들어버릴 수 있어.

왜냐고?

  • 예정에 없던 예산 투입 → 부처별 예산 조정 필요
  • 단기간 집행 → 행정 효율성 저하
  • 추경 반복 → 재정 건전성 악화

그리고 이게 반복되면 진짜 심각해져.
정권 바뀔 때마다 정책 바뀌고, 연속성 없는 정부 운영은 기업이나 투자자 입장에서도 불안요소야.
이건 마치, “내일 회사 사장이 또 바뀌면 어떡하지?”라는 생각과 비슷한 거지.

 

마무리: 투표는 권리, 하지만 돈은 현실

우리가 투표하는 한 표, 그 뒤엔 수천억 원의 세금과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어. 민주주의는 공짜가 아니야.

하지만 그 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건 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이야.

다음 선거 때, 투표장 가기 전에 이런 생각 한 번 해보는 건 어때?